입시 전략 설계/수시, 정시 분석

성적표에서 표준편차가 사라졌다? 당신이 지금 당장 해야 할 3가지

이치쌤! 2025. 6. 28. 12:21
반응형
MathJax v3 single-dollar sign rendering을 위해 블로그 관리 > 스킨 편집 > html 편집에서태그 안에 아래 스크립트를 추가해주세요.
          <script>
            MathJax = {
              tex: {
                inlineMath: [['$', '$'], ['\\(', '\\)']]
              }
            };
          </script>
          <script id="MathJax-script" async src="https://cdn.jsdelivr.net/npm/mathjax@3/es5/tex-mml-chtml.js"></script>
        

2022 개정 교육과정 심층 분석 시리즈

사라진 지표: 표준편차 삭제의 모든 것

숫자 하나가 불러온 대입의 지각변동, 이제 게임의 룰이 완전히 바뀌었다.

 

이치쌤이다.
'우리 학교는 내신 지옥인데…' 이런 푸념, 이제 변명이 될 수 없어.
지금까지 대학이 너의 성적을 보정해주던 '비밀 무기'가 사라졌거든.

이제 모든 건 네가 학생부에 남긴 기록으로만 평가받아.
어설픈 감성팔이, 뜬구름 잡는 소리는 집어치우고.
이 판에서 어떻게 살아남고, 어떻게 이길 건지.
정신 똑바로 차리고 이 글자들을 네 뇌에 새겨.

과거: 학교를 읽는 비밀 코드

표준편차는 입학사정관에게 너의 학교를 스캔하는 '스캐너'였어.
평균 점수와 이 숫자를 엮으면, 네 성적의 진짜 가치가 보였거든.

특목고/자사고 (추정 시나리오) 평균 90, 표준편차 5.0 → '괴물들 사이에서 버텼구나. 2등급도 인정.'

일반고 (추정 시나리오) 평균 65, 표준편차 20.0 → '실력 차가 큰 환경. 여기서 1등급은 진짜다.'

이게 바로 보이지 않는 '고교 등급제'의 실체였어. 특목고 2.5등급이 일반고 1.5등급을 이길 수 있었던 통계적 명분. 하지만 이젠 다 옛날이야기야.

현재: 모든 것을 평탄화하다

표준편차 삭제는 입학사정관의 눈을 가린 것과 같아.
이제 모든 '1등급'은 똑같은 '1등급'으로 보여. 전국 자사고의 1등급이든, 우리 동네 일반고 1등급이든.
모든 내신 성적이 표면적으로 "평탄화(Flattening)" 되어버린 거야.
이제 학교 간판으로 꿀 빨던 시대는 끝났어.

미래: 새로운 무기들

판이 바뀌었으면 새로운 무기를 들어야지. 이제 대학은 이 세 가지 지표에 집착하게 될 거야.

1. 원점수 (Raw Score)

같은 1등급이라도 100점과 91점은 다른 레벨. 동점자가 쏟아질 때 너의 압도적 실력을 증명할 가장 확실한 숫자다.

2. 성취도별 분포 비율

A등급이 15%인 과목에서의 A와 40%인 과목에서의 A는 무게가 다르다. 이게 표준편차를 대체할 새로운 '난이도 측정기'다.

3. 학점 수 (Credit Hours)

4학점짜리 수학 1등급이 2학점짜리 교양 1등급보다 네 총점에 미치는 영향이 훨씬 크다. 이젠 전략적으로 과목을 선택하고 집중해야 한다.

반응형

권력 이동: 대입 판의 재편

  • 수능의 절대 권력화

    흐릿해진 내신을 검증할 유일한 잣대. 특히 수시 '수능 최저'는 합불을 가르는 최종 관문이 될 것이다.

  • 학생부 '세특'의 지위 격상

    숫자 뒤에 숨은 너의 '진짜 실력'을 보여줄 유일한 공간. 학교 간판이 아닌, 너 개인의 탐구 서사가 중요해졌다.

  • 면접/논술 등 대학별 고사 부활

    학생부의 진위와 깊이를 직접 확인하려는 상위권 대학들의 칼날. 서류상의 스펙이 아닌 진짜 실력을 증명해야 한다.

결정타: 2028 수능 개편의 역설

이 와중에 2028 수능 개편안은 불난 집에 기름을 붓는다. 특히 수학 영역에서 '미적분Ⅱ'와 '기하'가 제외된 것이 핵심이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명확하다.
수능으로는 너의 수학적 깊이를 증명할 수 없으니, 학생부의 '심화수학 이수' 기록이 유일한 증명서가 되었다는 뜻이다.

역설적이지? 수능에서 빠졌기에, 최상위권 이공계에 가려면 고등학교에서 심화수학을 듣는 게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버렸다.
과목 선택 이력 자체가 너의 전공 적합성과 학업 역량을 판단하는 가장 결정적인 '시그널'이 된 것이다.

이치쌤의 현실 직언: Q&A

Q. 일반고가 무조건 유리해진 거 아닌가요?

착각하지 마라. '압도적인 최상위권'에게만 기회다. 어중간한 성적으로는 특목/자사고 애들의 깊이 있는 세특과 수능 점수에 그대로 밀린다. 결국 '네 하기 나름'이라는, 더 잔인한 레이스가 시작된 것뿐이다.

Q. 그럼 내신 버리고 수능만 팔까요?

그 이분법적인 생각부터가 실패의 시작이다. 내신과 수능은 이제 '상호보완재'다. 하나가 다른 하나를 증명해주는 구조. 둘 다 잡을 생각 안 하면, 이 판에서 그냥 퇴장이다.

Q. 2028 수능, 심화수학 빠졌으니 꿀 아닌가요?

정신 차려. 이공계 최상위권 대학 가려면 오히려 독이 든 성배다. 수능에서 변별할 수 없으니, 학교에서 '미적분Ⅱ', '기하'를 이수하고 최고 성취도를 받는 것으로 너의 가치를 증명해야 한다. 남들이 안 할 때 하는 게 진짜 실력이다.

이제 당신의 차례다.

학교 간판 뒤에 숨던 시대는 끝났다.
모든 것이 리셋된 이 판에서, 당신은 어떤 플레이어가 될 것인가?
환경 탓하며 도태될 것인가, 변화를 읽고 기회를 잡을 것인가.

이 새로운 입시 환경에서 당신이 선택할 '필살기' 과목은 무엇인가?
그 이유를 댓글로 증명해봐라!

반응형